의용공학 칼럼
뇌졸증의 재활 치료 골든타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
라이프케어 김동우
2025. 7. 4. 13:56
728x90
반응형
뇌졸증의 재활 치료 골든타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
뇌졸중 재활 치료는 뇌졸중으로 손상된 뇌 기능의 회복을 돕고, 환자가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입니다. 뇌졸중의 종류, 손상 부위, 심각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됩니다.
뇌졸중 재활 치료의 목표:
손상된 기능 회복을 위하여 마비된 사지의 움직임, 언어 능력, 인지 기능 등 뇌졸중으로 인해 손상된 기능을 최대한 회복합니다.또한 합병증 예방을 위하여 욕창, 폐렴, 관절 구축 등 뇌졸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독립적인 생활 능력 향상: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옷 입기, 식사하기, 걷기 등 일상생활 동작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사회 활동 복귀를 돕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심리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주요 재활 치료의 종류:
물리 치료 (Physical Therapy, PT)
운동 치료는 마비된 사지의 근력, 관절 가동 범위, 균형 감각 등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합니다. 걷기 훈련, 기립 훈련, 균형 훈련 등이 포함되며 통증을 완화 조절하기 위한 치료를 시행 합니다
보조기 사용:
필요한 경우 발목 보조기(AFO) 등 보조기를 사용하여 보행을 돕고 낙상을 예방합니다.
작업 치료 (Occupational Therapy, OT):
일상생활 동작 (ADL) 훈련: 옷 입기, 식사하기, 세수하기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동작들을 다시 익히고 연습합니다.
인지 및 지각 훈련: 집중력, 기억력, 문제 해결 능력 등 인지 기능 손상 개선을 위한 훈련을 합니다.
상지 기능 훈련: 손과 팔의 미세 운동 능력, 협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을 합니다.
보조 도구 활용 교육: 식사 도구, 지팡이 등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을 돕는 보조 도구 사용법을 교육합니다.
언어 치료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실어증 치료: 언어 이해, 표현,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전반적인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를 합니다.
연하 곤란 (삼킴 장애) 치료: 음식물을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안전하게 식사할 수 있도록 삼킴 기능을 개선하는 훈련을 합니다.
인지-의사소통 치료: 기억력, 주의력 등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를 개선합니다.
인지 재활 치료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뇌졸중 후 흔히 발생하는 주의력, 기억력, 실행 기능, 문제 해결 능력 등의 인지 기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전문적인 치료입니다. 컴퓨터 기반 훈련, 실제 상황 시뮬레이션 등이 활용됩니다.
심리 치료 및 상담:
뇌졸중 후 우울감, 불안, 좌절감 등을 겪는 경우가 많으므로,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상담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사회사업 (Social Work):
퇴원 후 가정 복귀, 직업 복귀,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 사회적 적응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재활 치료의 시기와 중요성:
뇌졸중 재활 치료는 발병 후 최대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기 치료가 안정화된 후 바로 재활을 시작하여 뇌의 가소성(Plasticity)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회복에 유리합니다. 재활 치료는 병원 입원 재활, 외래 재활, 가정 재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졸중 재활은 환자 본인의 의지와 가족의 지지, 그리고 의료진의 전문적인 도움이 함께 어우러질 때 가장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진단 후 3~ 6개월 사이에 적극적으로 재활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특히 뇌졸증인한 대표적인 후유증은 사지 마비 혹은 편마비로 인하여 근육이 굳어지는 경우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원의 적극적인 재활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며 집에서는 환자 스스로 보행 연습을 하거나 원적외선 온열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근육통 조절을 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것을 권장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