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을 일으키는 '암 유전자'
가족성 수양암(FMTC:flmily medullary thyroid carcinoma), 산발성 갑상선 수양암, 산발성 갈색세포종, 갑상선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두선암 그리고 장관신경계 분화 이상을 일으키는 히르시스프룽병(Hirschsprung)-일명 선천성거대결장(congenital megacolon)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이다.
암을 억제하는 유전자
정상세포에는 세포의 암화를 억제하는 유전자가 존재하는데, 이 유전자를 암 억제 유전자라고 부른다. 이들 암 억제 유전자의 산물은 세포증식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 8)에서 보듯 RB 단백질은 세포성 전사인자 E2F와 복합체를 형성(저인산화 상태)함으로써 Gl에서 S기로 진행을 방해한다.
2) P53 유전자
핵에 존재하는 인산화된 단백질로 이상이 검출되는 빈도가 가장 높은 암 억제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DNA의 완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3) APC 유전자
이 유전자는 AFP(가족성 대장 polyposis증) 및 가드너 증후군(GS: Gardner syndrome)의 원인 유전자이다. 대장 이외에 위암 췌장암에서도 이상이 검출되었다.
4) WTI 유전자
월름(Wilm's)종양*1)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유전자이다. 최근엔 백혈병의 잔재 종양 검색에도 응용되고 있다.
*1) Wilm's tumor: 소아의 신장에 발생하는 종양. 3-4세에 호발하며 합병기형이 많다. 합병기형 중에서 무흥채. 비뇨생식기 이상. 정신발육 지연을 특징으로 하는 WAGR 증후군(Wilms' tumor, aniridia. genitourinary malformation. uental retardation syndrome)이 잘 알려져 있다. |
(schwannoma), 수막종(menigioma), 상의종(ependymoma)을 일으킨다.
유전성이 아닌 산발성 신경초종 (schwannoma: 말초신경 시반세포에 발생하는 종양, 골수종에서도 단백질 합성 중단을 가져오는 NF2 유전자 변이가 관찰된다.
8) hMSH2 hMLHl hPMSl hPMS2 유전자
이 유전자들은 DNA 수복 효소군으로 유전성 비선종성 대장암 (HNPCC: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2)의 원인 유전자이다.
*2) HNPCC: 대장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위암 등이 가속내에 집적하는 가계로서 1966년에 Lynch 등에 의해 보고되어 이전에는 Lynch 증후군이라 불렸다. 이들 가계에서는 대장암의 빈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지금은 HNPCC라고 불린다. 전체 대장암중 많은 비율이 HNPCC라고 추정되고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가족성 종양질환이다. |
사진을 클릭하세요 ^^
암의 초기증상
- 3주내 치료되지 않는 피부 궤양, 딱지, 종기가 났을 때
- 자주 출혈을 일으키거나 가려운 혹이나 점이 발생할 때
- 심한 두통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때
- 목소리가 심하게 변하거나 쉰 목소리가 날 때
- 계속되는 기침과 함께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올 때
- 복통이 계속적으로 반복될 때
- 고환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일어날 때
- 배뇨(작은 거 볼때) 시에 통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가 섞여 나올 때
- 대변 습관의 변화가 자주 나타나거나 변비, 변의 굵기 색깔이 변할 때
- 유방의 모양이 변하거나 몽우리가 만져질 때
- 젖꼭지에서 액이 나오거나 출혈이 있을 때
- 생리기간이 아닌 때 폐경 후 질 출혈이 자주 있을 때
'암 정보 및 치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腹水)가 차는 이유 (0) | 2012.02.18 |
---|---|
활성산소는 암 세포의 동반자 (0) | 2012.02.11 |
암에 따른 임상증상과 예후 (0) | 2012.02.10 |
암을 이기는 정보 (0) | 2012.02.09 |
췌장암의 최신 정보 (0) | 201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