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의 육류 섭취에 관하여
앞에서 고기 먹어도 되냐는 이야기가 나온 김에 고기에 대해서 조금만 더 이야기 해보자. 환자 보호자들 사이에서 떠도는 말 중에 고기를 많이 먹으면 암에 안 좋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았을지 모르겠다. 실제로 대장암의 경우 고기를 많이 먹으면 발생률이 증가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습관이 점차 서구화되고 고기를 많이 먹게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대장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암에 걸리고 나서 고기를 먹지 말라고 하는 데에는 나름대로의 논리적인 근거가 있다. 고기를 많이 먹으면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서 암세포에 영양분이 많이 가게 되고 이로 인해 암세포가 빨리 자라게 된다는 것이다. 일견 보기에는 맞는 이야기 같아 보인다. 암세포가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아 빨리 자라면 큰일이지 않는가…
그렇다면 고기가 여러 면에서 암에 안좋은데, 정말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정답은 ‘그렇지 않다’ 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암에 걸리고 나면 오히려 고기를 충분히 먹을 것을 권한다. 바로 고기가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기 때문이다. 암에 걸리고 나면 체중이 빠진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암에 걸리면 여러 가지 이유로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고 체중이 빠진다. 암세포가 빨리 빨리 증식하면서 정상세포의 에너지를 많이 빼앗아 가고, 우리 몸은 더 많은 에너지와 영양분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충분한 영양공급이 되면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이롭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특히 암과 싸우는 면역세포에도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암세포와도 싸워나갈 수 있는 법이다. 암세포에게 영양이 충분히 공급될까봐 두려워서 정상세포와 면역세포에도 영양을 안 주어서는 안 된다.
같은 맥락으로 ‘빈대 잡으려다가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이 있다. 암 치료에 있어서도 이 말은 참으로 적절한 말이다. 암세포 하나 잡으려고 암세포를 굶겨 죽이는 것도 중요한 것 같지만, 정상세포도 함께 굶겨서는 안 된다. 암세포도 죽었지만, 정상세포도 함께 죽어 결국에 사망에 이르러서는 안될 것이다.
독한 항암치료를 잘 견뎌내려면 충분한 영양공급이 너무나 너무나 필수적이다. 영양공급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크게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이 세가지 인데, 고기는 아주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고, 중요한 영양공급원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기가 주식이 아니기 때문에, 고기를 많이 먹는 다고 해도 큰 문제가 안 된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많은 사람들이 또 묻는다.
‘무슨 고기를 먹어야 하나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개고기, 각종 생선류 다 좋다. 입맛이 떨어지기 쉬우므로 환자분이 평소에 좋아하는 것으로 먹으면 된다.
‘개고기도 먹어도 되요?’
개고기도 식품으로 고기로 먹는 것은 큰 상관은 없다. 우리 옛 조상님들은 그 옛날 헐벗고 굶주리던 시절 단백질 공급할 길이 없어 체력소모가 많아지는 복날에는 멍멍탕을 드시지 않았던가. 다만 개고기 엑기스, 개소주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첫째 제조과정이 비위생적인 경우가 많고, 둘째 개고기 이외에 다른 성분미상의 물질들이 첨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고기를 먹으면 안 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간암 말기 간경화 말기로 간성혼수가 오는 경우에는, 고기의 단백성분을 간이 해독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고기를 먹고 간성혼수가 악화될 수 있다. 그리고, 항암치료 받고, 1주정도 지나 백혈구 수치가 떨어질 때에는 생선회나 육회 등 날것으로 먹는 고기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암에 걸리고 나면 충분한 영양공급이 중요하므로 고기는 먹는 것이 좋다
출처;김범석교수의 진료실에서 못다한 항암치료 이야기
NOTE:
암환자가 육류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말들이 분분하지만 암환자의 암종이나 증례에 따라 차등을 두고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판단이 아닐까 생각한다, 다시 정리하자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경우라면 굳이 육류를 의도적으로 많이 먹을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리고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위암의 경우라면 육류 소화가 어려울수 있으므로 가급적 육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지만 개인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였으면 한다,
그리고 저체중 상태이거나 기력이 떨어진 경우라면 육류 섭취를 충분하게 해주어야 한다, 간혹 암환자는 육류를 절대로 먹어서는 안 된다고 채식만 고집하는 경우가 있는데 너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생각 한다. 자신의 생명은 자신만이 책임 질 수 있기에 그러한 선택을 할 경우에는 사전에 의료진과 상의를 하거나 그 분야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판단 하였으면 한다,
최근 일본의 암 전문가의 말을 빌리자면 암환자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채식과 단백질을 충분하게 섭취하는 것이 암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가능하면 채소,곡물,과일류를 80% 정도 차지하고 단백질 성분은 20% 정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영양식단이 아닐까 생각 한다,
또 암 치료 과정이나 건강 관리 유지 측면에서 오염되지 않은 계란을 하루에 6개 정도 먹을 것을 권유한다, 계란도 반드시 오염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좋으며 방목하여 키운 닭의 계란이 가장 안전하다, 또 반숙을 하여 먹는 것이 영양 섭취 측면에서 가장 좋지만 개인의 취향에 따라 완숙 계란도 무방하며 계란말이등 다양하게 섭취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더불어 일반 소금은 적게 섭취하고 불순물,중금속,간수,가스를 제거한 순수소금이나 9회 죽염등을 이용하면 좋다, 간혹 자연치유를 표방하면서 저염식만 고집을 하여 체내 염도 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져 부작용을 유발하는 사례도 있으므로 무엇이던지 과유불급을 염두하고 판단하였으면 한다, 인체는 항상 0.9%의 염도를 유지하고 pH수치도 7.2~7.4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상태이다.
일반 소금의 경우 pH 5~6의 강산성을 띠고 있지만 순수소금이나 자죽염의 경우 pH7.4를 유지하거나 pH10.5 의 알칼리를 띠고 있는 소금도 있으므로 참고를 하였으면 한다, 안전하고 좋은 소금은 또 하나의 자연 치유력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의공학전문가 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더라이프 메디칼 http://blog.daum.net/inbio880
'암환자의 식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투병 중인 환자에게 항암 치료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올바른 영양 (0) | 2016.05.25 |
---|---|
나는 몸신이다/대장암에 좋은 음식과 재발 관리에 관하여 (0) | 2016.05.21 |
암환자 셋중 둘은 영양불량/20%는 영양실조로 사망..“적극적 영양관리 필요” (0) | 2016.05.08 |
대장암에좋은음식/ 대장암에좋은과일 (0) | 2016.04.16 |
폐암-서울대학교 암병원 [ (0) | 2016.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