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메디칼엔지니어ㅣ김동우 010-7216-6789

더라이프케어 010-7216-6789

암 정보 및 치료법

붉은 고기의 섭취가 암 발생을 높이나요?

라이프케어 김동우 2016. 10. 20. 14:25




Q. 붉은 고기의 섭취가 암 발생을 높이나요?


쇠고기와 돼지고기와 같은 붉은색을 띄는 고기는 인체에 필수적인 단백질과 지방의 훌륭한 공급원입니다뿐만 아니라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붉은 고기를 통해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칼로리가 높아 육식을 즐겨먹는 식성의 경우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붉은 고기 섭취와 암과의 관련성이 밝혀져 있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하루 100g 이상의 붉은 고기를 섭취하는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실제 세계암연구기금 및 미국암연구소(WCRF/AICR) 보고서에서는 붉은 고기 섭취를 대장직장암의 1등급 위험요인(convincing-확실한 위험요인)으로 판정하고 있습니다또한육류 섭취가 담낭암과 전립선암의 발생을 높인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반면붉은 고기 섭취에 의한 식도췌장 및 자궁내막 부위의 암발생 위험도는 3등급(limited evidence-근거 부족한 위험요인)으로 판정하였고위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육류 섭취량 증가가 위암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또는 쇠고기칠면조오리 섭취 증가는 위암 위험도를 낮추고 위암 발생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육류 섭취와 유방암 사이의 관련성을 보면 육류 섭취 횟수 증가가 폐경 전·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반면주 1회 이상의 육류 섭취 시 유방암의 위험도를 1.5-1.7배 정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육류 섭취가 신장암과 방광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가에 대해서도 유방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붉은 고기는 빈혈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암 발생을 촉진시키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철분의 일종인 헴철(Heme iron)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헴철은 체내에서 발암물질인 엔니트로소 화합물(N-nitroso compounds)의 생성에 관여하며세포독성과 유전자독성을 가진 알데하이드의 생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붉은 고기를 먹을 때 조리법 역시 발암여부 및 발암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인데고기를 굽다가 타게 되는 경우 이종고리아민(헤테로사이클릭 아민, heterocyclic amines)과 다륜성 방향족 탄화수소(폴리사이클릭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HAs)과 같은 발암물질이 발생합니다.

 

따라서암종마다 붉은 고기 섭취가 암발생에 미치는 영향 여부와 그 위험도가 다르기는 하지만암 예방을 위해서는 붉은 고기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주일에 300g 미만으로 섭취할 것과 굽기보다는 찌거나 삶는 조리법을 선택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NOTE:

육류 섭취에 관한 논쟁이 많지만 몇 가지를 참고하여 선택적으로 잘 활용하였으면 한다, 기본적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라면 육류 섭취를 제한하고 식물성 단백질류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예를들어 콩,두부,햄프씨드를 주로 먹거나 생선을 간헐적으로 먹는 것이 좋다고 본다,


그러나, 저체중 상태이거나 항암 치료 과정에서 구토와 오심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체중이 줄어든 경우나 기력이 쇠잔한 환자의 경우에는 육류를 보충해주어야만 한다, 하루에 귤 한 두개 정도의 량이 적당하며 소고기 장조림으로 반찬처럼 섭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만 육류 섭취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오리고기, 닭고기 위주로 먹고 소고기의 경우에는 지방이 없는 부위 위주로 먹어야 한다.


유방암 환자의 경우에는 닭고기가 암 예방을 일정 부분 역활을 한다는 보고는 있지만 과도하게 먹는 것은 삼가하여야 하고 최근 통닭 체인점에서 판매하는 후라이드 치킨은 먹지 않아야 한다, 가능하면 찜닭이나 삼계탕으로 먹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암 치료 과정에는 삶은 계란을 하루에 2~6개 까지 반숙을 하여 먹는 것을 권유한다,계란은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고 단백질 공급원으로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한번에 많이 먹는 것보다 매끼마다 1~2개씩 먹으면 좋다, 하지만 닭계장 공장에서 좁은 게이지에서 생산한 계란보다 자연속에서 방목하여 항생제나 성장 촉진제를 투여하지 않은 안전한 닭의 계란을 먹어야 한다. 일반 계란보다 가격이 조금 비싸지만 안전이 확보된 계란이라면 비싸도 먹어야 한다,


참고로 면역력이 낮거나 백혈구,호중구 수치가 낮은 경우에는 반숙보다 완숙을 하여 먹어야 한다, 가능하다면 자연속에서 생활하면서 닭을 방목하여 키워 얻어진 계란이 가장 안전하고 좋은 계란이다, 계란은 환자가 아니어도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건강관리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매일 계란을 한 두개 정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만약에 삶은 계란을 먹을 때 일반소금에 찍어 먹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죽염,용융소금 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하여야 한다,

메디칼엔지니어 ㅣ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http://blog.daum.net/inbio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