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과의 싸움은 흑효백묘이다
암을 극복하는데 현대의학이던지 자연치유이던지 상관없이
암을 이길수만 있다면 그 것이 최고의 선택이다
암중모색/암은 확율과의 싸움이다
메디칼엔지니어ㅣ김동우
암과의 싸움은 만만치 않다. 다행히 현대의학적 표준치료로 호전이 되거나 관해 상태까지만 간다면 더 이상 바랄것이 없지만 모든 환자가 만족 할 만한 결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매년 발표되는 5년 생존율 통계자료 발표도 현실과 괴리감이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우리 주변에 수 많은 암 환자분들이 기대와 달리 관해 판정을 받거나 완치 판정을 받지 못하고 힘들게 암 투병을 하는 경우가 많기에 긴장을 하고 가장 최선의 방도를 모색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안타까운 일은 현대의학적 표준치료만 고집하다가 잘 못되는 경우도 많다. 당연히 현대의학적 표준치료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원칙이지만 표준치료로 더 이상 호전이 어렵거나 병원에서 더 이상 해줄것이 없다고 투병을 포기를 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제도권 밖에서도 암을 얼마든지 제압 할수 있는 방법도 있고 환자의 생명 연장을 해주거나 보다 나은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 존재함에도 거부를 하는 사례가 많다
최근 어느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인중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담당 주치의가 여명이 몇 개월 정도 남았다고 하여 모든 것을 정리하여 스스로 호스피스 병동으로 입원하여 마지막을 정리하였던 사례도 있었다. 오랜 기간 투병을 하다가 그런 경우도 아니고 갑작그러운 증상으로 인하여 진료를 받은 결과 암이 너무 많이 진행이 되어 말기암 판정을 받았지만 아직까지 먹고 걸을 수 있는 수준이었지만 의료인으로 의사의 의견을 신뢰하고 더 이상 차선책이나 자연치유쪽으로 알아보지도 않고 삶을 포기를 하였다
또 암 환자 카페지기로 활동을 하던 분이었는데 병원 치료를 잘 받았지만 항암제 내성으로 인하여 더 이상 쓸 약이 없다고 하였는데도 병원 치료를 끝까지 고집을 하고 차선책이나 자연치유쪽으로 눈길도 주지 않았다. 물론 현대의학을 믿고 따르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표준치료만이 전부가 아니기에 암 투병 전략을 변경해보라고 권유를 하였지만 그 환자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수 개월 후 호스피스 병동으로 갔었다. 그 외 이와 유사한 사례는 너무 많았다.
우리는 여기서 중요한 점을 잊고 않고있나 곰곰히 분석을 해보아야 한다, 즉 암은 기본적으로 현대의학적 표준치료를 기반으로 잘 치료하여야 한다, 더불어 기존 치료에 악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내에서 병행 할 수 있는 자연치유적 요법도 시도하면 보다 나은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만약에 표준치료로 더 이상 호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나 환자의 여건에 따라 암 투병 전략도 변경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암 치료 유효율이 높은 것들을 선별적으로 선택하고 수 많은 치료나 요법 중에서도 확율적으로 치료 효율이 높은 것을 잘 선택하는 것이 암과의 싸움에서 승리 할 확율이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암과의 전쟁은 확율과의 싸움이다, 더불어 치료 확율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근거자료를 기초로 분석을 하고 다양한 사례중에서도 결과를 기준으로 판단을 하는 것이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 한다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암중모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정다감한 의사를 만나야 합니다 (0) | 2020.02.14 |
---|---|
항암 치료 과정에서 날것(회)을 먹는 것에 관하여 (0) | 2020.02.14 |
암 투병 과정에서 기능의학의 필요성에 관하여 (0) | 2020.01.27 |
무엇이 그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 일까? (0) | 2020.01.27 |
암 진단에서 단계별 대응 방안에 관하여 (0) | 202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