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 종류
암 억제 유전자(종양 억제 유전자)는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분열을 억제하여 암 발생을 막는 중요한 유전자입니다. 이러한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거나 기능이 소실되면 세포가 통제 없이 증식하여 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 종류:
매우 다양한 암 억제 유전자들이 알려져 있으며,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여 세포 성장과 분열을 조절합니다. 주요한 암 억제 유전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53 (TP53): "게놈의 수호자"라고 불리며, DNA 손상을 감지하고 복구하거나, 손상이 심한 경우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인간 암의 약 50% 이상에서 p53 유전자 변이가 발견됩니다.
2. RB1: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인 pRb를 발현하여 세포가 G1기에서 S기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합니다. 망막모세포종, 골육종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3. PTEN: 세포 성장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세포 증식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많은 암에서 기능 장애가 발견됩니다.
4. BRCA1, BRCA2: 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며, 이 유전자 변이는 유방암, 난소암 등의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5. APC: 세포 부착 및 신호 전달에 관여하며, 대장암 발생과 관련이 깊습니다.
6. VHL: 저산소 조건에서 HIF(hypoxia-inducible factor) 단백질을 분해하여 혈관 신생을 억제합니다. 신장암 등과 관련됩니다.
7. CDH1: 세포 간 접착에 관여하며, 위암, 유방암 등에서 기능 소실이 관찰됩니다.
8. p16 (CDKN2A): 세포 주기를 조절하여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9. WT1: 신장암의 일종인 윌름스 종양과 관련이 있는 전사 인자입니다.
10. NF1, NF2: 신경 섬유종증과 관련된 유전자입니다.
11. DCC: 대장암에서 소실된 유전자입니다.
12. SMAD4 (DPC4): 췌장암, 대장암 등에서 종종 비활성화되는 유전자입니다.
13. LUNX-3 : 최근에 발표된 암 억제 유전자
이 외에도 많은 암 억제 유전자들이 존재하며, 각 유전자들은 특정 경로에 관여하여 암 발생을 억제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암의 종류에 따라 관여하는 암 억제 유전자와 변이 양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암 억제 유전자 기능:
암 억제 유전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암 발생을 억제합니다.
- 세포 성장 및 분열 조절: 세포 주기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세포가 특정 단계에서 멈추도록 유도합니다.
- DNA 손상 복구: 손상된 DNA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유전자 변이를 막습니다.
- 세포 사멸(Apoptosis) 유도: 비정상적인 세포나 심하게 손상된 세포를 스스로 파괴하도록 유도합니다.
- 세포 분화 촉진: 정상적인 세포의 성숙과 기능을 유도하여 비정상적인 증식을 억제합니다.
- 신호 전달 경로 조절: 세포 성장, 분열, 생존에 관련된 신호 전달 경로를 정상적으로 조절합니다.
- 혈관 신생 억제: 종양 성장에 필요한 새로운 혈관 생성을 억제합니다.
- 세포 간 접착 및 이동 조절: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 상실은 암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암 치료의 중요한 표적이 되기도 합니다. 결국 우리 몸의 방어 시스템인 암 억제 유전자의 비활성화 현상과 면역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매일 생성되는 암 세포를 제압하지 못하기 때문에 암이 증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현대의학적 치료를 기반으로 암 억제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주면서 환자의 면역 체계를 회복시켜 줄수만 있다면 말기암도 희망을 걸어 볼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몇 가지 방법을 적절하게 잘 활용을 한다면 보다 나은 치료 결과를 도출 할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실제로 이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병행 관리하여 현재 5년 이상 생존하고 있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환자와 보호자의 편견과 제대로 실천 관리하지 않는 것이 문제 입니다, 또한 다각적으로 암을 관리하여야 하는데 너무 소극적으로 대처를 하여 만족스럽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힐링어드바이저ㅣ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반응형
'암중모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치료, 수술하기 싫어요! (0) | 2025.04.17 |
---|---|
암의 진행 속도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0) | 2025.04.17 |
암 치료는 정답이 없다, 하지만 원칙은 있다 (0) | 2025.04.06 |
어느 4기암 투병 환자의 푸념속에 숨은 뜻은 무엇일까? (0) | 2025.04.06 |
전신 온열요법을 시도하면 얻어지는 기대 효과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