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메디칼엔지니어ㅣ김동우 010-7216-6789

더라이프케어 010-7216-6789

각종 의료 정보

[메디컬 인사이드]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가 아닙니다

라이프케어 김동우 2017. 12. 26. 11:08



[메디컬 인사이드]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가 아닙니다              



우울증 진실과 오해

지난해 우울증환자 64만명 넘어 
우울증과 스트레스 의한 우울감 주변에서 쉽게 구분하기 어려워 

유명 아이돌 스타인 그룹 샤이니의 종현 사망사건으로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5일 통계청의 ‘2016년 사망 원인 통계’ 자료에 따르면 10~30대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입니다. 40~50대 사망 원인 2위도 역시 자살입니다. 이런 극단적 선택과 관련성이 가장 높은 질환이 바로 우울증입니다.   


우울증 진료환자는 2012년 59만 1276명에서 지난해 64만 3102명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렇지만 우울증에 대한 인식의 진전은 매우 더딘 상황입니다. 우리는 흔히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고 표현합니다. 감기는 일주일 이내에 저절로 낫는 병입니다. 

그러나 우울증은 환자를 가만히 놔두거나 면역력을 높이듯 주변에서 용기를 북돋는다고 저절로 낫는 병이 아닙니다. 심약한 사람만 걸리는 병이 아니고, 스트레스 없이도 생길 수 있는 ‘뇌의 병’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합니다. 일반인이나 환자의 인식, 의료진의 설명 사이에 큰 간극이 있는 이유입니다.



●저절로 낫지 않는 ‘뇌의 병’ 


여러분이 흔히 표현하는 ‘우울감’은 병이 아닙니다. 일시적인 기분 변화와 소극적 성격은 우울증으로 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2주 이상,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우울해하고 직장생활, 가사, 학업 등 일상생활을 이어 나가기 어려울 정도라면 뇌의 병을 의심하고 진료부터 받아야 합니다.

문제는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 처했을 때입니다. 주변에서도 우울증인지 스트레스에 의한 우울감인지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김세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대략 2개월까지는 진단기준을 충족한다고 해도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도 충분히 고려한다”며 “만약 2개월을 넘어 계속 우울한 기분이 유지되고 자살에 대한 생각이 강해지거나 부적절한 죄책감, 행동이 느려질 정도의 집중력 저하가 있다면 꽤 심각한 우울증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울증은 극단적 선택과 관련이 있습니다. 김 교수는 “최소 50% 이상의 사람이 우울증 때문에 극단적 선택을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가능성을 특히 강조한다”며 “우울증을 치료하면 분명히 자살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우울증이 극심할 때는 극단적 선택을 할 의욕조차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치료를 받고 우울증이 호전돼 어떤 의지가 생길 때 위험한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회복기에 있는 환자도 가족의 세심한 관찰과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



우울증은 단순히 우울한 감정으로만 나타나진 않습니다. 부정적 사고, 불면증과 기면증수면장애, 의욕 및 집중력 저하, 극단적 선택에 대한 반복적 생각 등이 일반적 증상이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청소년에서는 반항, 등교 거부, 약물 남용, 비행 등의 현상으로 비쳐지기도 하고 중년은 지나친 건강 염려증, 죄책감, 절망감, 건망증, 화병 등의 증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의사의 진단에도 병을 강력하게 부인하고 전혀 우울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이럴 때 환자가 밉다고 방치하거나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겁박하면 치료로 연결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김 교수는 “우울증은 스스로 노력해서 회복하기 힘든 질환이기 때문에 가족이나 지인의 관심이 중요한 병”이라며 “결코 나약해서,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않아서, 마음을 굳게 먹지 않아서 생기는 병이라고 윽박질러서는 안된다”고 경고했습니다. 

치료받는 과정에도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우울증이 극심할 때는 극단적 선택을 할 의욕조차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치료를 받고 우울증이 호전돼 어떤 의지가 생길 때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했을 때 위험한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가족의 세심한 관찰과 꾸준한 치료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김 교수는 “가족들은 좋아졌다고 안심하는 사이 상태가 호전된 환자가 의욕을 가졌는데 그것이 생각과 달리 ‘자살 의욕’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며 “회복기에 있는 환자도 극단적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항우울제에 대한 반감이 많지만 잘 치료하면 3~4개월 만에 눈에 띄게 증상이 호전된다. 그러나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일정 기간 유지 치료가 필요하다. 적극적인 치료로 재발하지 않으면 의사와 상의해 약물 복용을 중단할 수 있다.



●“항우울제 무조건 평생 복용”은 아냐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증상 조절이 어렵진 않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약에 대한 거부감이 너무 큽니다. 약은 무조건 평생 먹어야 한다고 걱정합니다. 그래서 2013년 기준 국내 항우울제 사용량은 20DDD(1000명이 하루 사용하는 항우울제 분량)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58DDD의 3분의1에 그쳤습니다.

신용욱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서구권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약에 대한 거부감이 너무 크다”며 “항우울제를 먹으면 중독이 된다거나 오히려 치매에 걸린다고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김 교수는 “보통 3~4개월 약물로 치료하면 회복이 가능하다”며 “다만 우울증은 재발 위험이 높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환자의 50%에서 2~3년 내 증상이 재발하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 유지 치료를 6개월~1년가량 진행한다”며 “유지 치료 이후에도 재발하지 않으면 의사와 상의해 약을 중단할 수 있으니 약물치료를 너무 걱정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약물치료 외에 ‘광선치료’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겨울철 우울증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신 교수는 “밝은 빛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으로 도움이 되는지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뇌 신경전달 물질의 생성과 분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우울증 환자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외향적으로 지내기보다 자기 성찰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그런 의미에서 깊은 호흡과 관조를 통해 내면의 성찰을 유도하는 명상도 우울증과 같은 기분 장애를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226020002&wlog_tag3=daum#csidx90e04063ad64bbe9bfae60a98542168




NOTE:

우울증,조울증,공황장애,불안장애,분노 조절 장애 증상의 경우 반드시 정신과의학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정신학적으로 혼자서 견디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그럴 경우에는 심리 치료를 받거나 약물 복용을 통하여 제반 증상을 완화시켜주면 삶의 질이 향상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진료과와 달리 정신의학과 방문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로 그러한 생각을 하여서는 안 됩니다


특히 우울증이 심하여 혼자서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면 지금 즉시 전문 의사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 원인 제공 인자로 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치료를 하거나 환자 본인도 노력을 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로 거의 대부분이 증상이 조절이 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EST 치료, Bio feed back system 치료, 광선 치료등으로 개선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 자기 공명치료법, 미주신경 치료법등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정신학적으로 힘든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우울증은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가 됩니다,


하지만 우울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심리적으로 하루 하루가 힘든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 좋은 세상을 왜 빨리 떠날려고 합니까, 혼자서 힘들어하지 마시고 내가 신뢰 할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의사를 만나시기 바랍니다, 의공학전문가 ㅣ 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http://blog.daum.net/inbio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