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 구강 관리
치약과 가글 용액은 전문 약제를 쓰세요
수시로 오심과 구토에 시달리는 암 환자는 양치질 한 번도 버겁기만 하다.
치과 전문의의 정확한 처방과 일상 속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Q. 암환자입니다. 입 안 여기저기 상처도 생기고 자꾸 구역질이 나서 양치질하는 게 너무 어렵습니다. 구강 관리 잘 하는 뽀족한 방법이 없을까요?
A.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구강 내 발적과 출혈, 부종, 점막 손상으로 인한 궤양, 입 안의 작열감, 구강 위생 관리 능력 저하로 인한 구취, 타액 분비 저하로 생기는 구강 건조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구내염은 이차감염의 통로가 되며, 신체 상태가 저하된 환자에서는 패혈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구강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항암제의 종류와 성상, 암의 유형, 환자의 영양 상태와 항암치료 전구강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크지만, 그중 항암치료 전 환자의 구강 상태와 구강 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 전에는 치과 검진을 통해 치석 제거와 불소 도포를 시행하고, 추후 예상되는 감염이나 자극원을 제거합니다.
구내염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좀 더 세심한 구강 관리가 필요합니다. 양치 시에는 부드러운 솔을 사용하고, 심한 경우 거즈나 면봉을 추천합니다.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는 얼음물로 입 안을 차갑게하는 것이 좋으며,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고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료, 술, 담배, 커피는 피해야 합니다. 치약이나 가글 용액은 일반 상품보다는 전문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틀니 등의 보철물을 사용하는 분들은 상황에 맞게 간단한 형태로 수정이 필요합니다.
두경부 방사선치료로 구강건조증이 나타나 혀가 갈라지고 침이 끈끈하고 연하가 어려운 경우, 불소 가글을 이용하면 항우식성 강화에, 항균 가글을 이용하면 치주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가정에서는 입 안을 자주 헹구고 입술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연고나 바세린 크림을 바르는 것이 좋으며, 얼린 레몬이나 신 음료, 과일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알코올이 함유된 가글 용액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도움말 : 정복영 교수(치과대학병원 통합치의학과)
출처 : 세브란스병원웹진
'암관련 스크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암에 쓰는 항암제 (0) | 2019.01.31 |
---|---|
유방암 환자부부를 위한 지침서 (한국유방암학회) (0) | 2019.01.22 |
암환자들 통증완화에 토모테라피 효과적 (0) | 2019.01.13 |
문맥혈전 동반 간암, 병합치료로 생존율 증가 (0) | 2019.01.13 |
암환자의 세 가지 원칙 (0) | 2019.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