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메디칼엔지니어ㅣ김동우 010-7216-6789

더라이프케어 010-7216-6789

암관련 스크랩 정보

여성홀몬과 콩제품 사이의 논란

라이프케어 김동우 2014. 11. 27. 11:03
728x90
반응형

 

 

 

 

 

여성홀몬과 콩제품 사이의 논란

 

 

콩제품의 항암식품으로서의 위치는 과학자및 영양학자들 사이에도 논란이 많은 부분인데,그 때문에 일반 암환자와 가족들이 혼란을 겪게 되는 듯 싶습니다.과학적 결론을 낼 수 없는 논란중의 상황이라 제가 그동안 피하고 있었는데,약간의 설명을 할 필요를 느낍니다..


(주: 제가 이전처럼 활동적이지는 않더라도, 앞으로도 필요성을 느끼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리를 할 예정입니다.제가 필요성을 느끼고 느끼지 못하고는 이곳을 방문하는 분들의 목소리에 달려 있습니다.그러한 소리를 듣고,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외면하지 않고 자료 정리를 할 것입니다.)


1. 여성홀몬 수용체가 있는 유방암 을 제외한 항암식단

콩제품중 soy bean (메주콩) 에는 독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soy bean 이어도 풋콩, 발효식품은 괜찮습니다.두부에 독성이 있다는 연구는 없습니다. 콩나물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Soy bean 이 아닌 다른 콩류, 검은콩, 붉은콩에는 독성이 없습니다.


2. 여성홀몬 수용체가 있는 유방암의 경우..

Soy bean 을 사용한 두유에 여성홀몬이 많다는 것이 밝혀져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soy bean 제품에는 여성홀몬이 많다라고 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단, 발효식품에 여성홀몬이 많다는 연구결과는 전혀 없습니다. 그러므로, 간장, 된장, 고추장 먹어도 됩니다.두부는 soy bean 으로 만들되 발효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데, 전 neutral 로 피하지는 않는데, 많이 먹지 않도록 신경을 씁니다.제 생각에 콩나물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콩류의 이소플라본이 "유사 여성홀몬(phytoestrogens)" 이라는 부분인데요..식물에서 발견되는 피토에스트로겐 은 엄밀하게는 여성홀몬은 아닙니다.인체내에서 여성홀몬과 유사한 행동을 하는 화학물질입니다.이 피토에스트로겐과 유방암에 대하여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는 없습니다.


제가 예전에 이 피토에스트로겐 이 많은 식품을 찾아봤거든요..이 화학성분은 식물에서 추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웬만한 채소및 곡류 절반 이상이 이 피토에스트로겐이 높은 것으로 나옵니다.거기에는 항암효과가 높다고 밝혀진 항산화식품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전 이 피토에스트로겐과 유방암의 직접적인 관계는 아직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위험성이 없는 것이 아니므로, soy bean 과 관련제품은 풋콩과 발효식품이외에 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특히 콩국수, 콩물 등 마시지 마세요~물론 두유도 안 됩니다..지금까지 제가 본 자료에 의하면, 우유종류로는 아몬드 우유가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검은콩과 붉은콩류는 더 뚜렷한 연구결과가 보일때 까지 전 금지하지는 않되, 많이 먹지는않도록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그 이유는, 콩제품은 항암식단에 필요한 여러가지 필수요소들을 갖춘 식품이기 때문에, 아직 상관관계가 정확하지 않은 피토에스트로겐 때문에 콩제품 전체를 피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자료출처:초록빛가득한 마이에덴힐링정원/씨씨

 

 

 

NOTE:

여성홀르몬으로 인한 유방암 환자가 콩과 두부를 섭취하는 것에 관하여 현대의학과 자연의학은 서로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대의학적 측면에서는 전혀 관계없으니 먹어도 상관이 없다는 주장이고 자연의학을 전공하는 의료진들은 콩과 두부를 먹지 말라고 권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두가 전체 의견은 아니지만 이러한 주장이 상반되기에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약간 혼란이 옵니다. 결국 그 선택권은 환자의 몫이라 생각 합니다.

 

다만, 전반적인 의견을 정리하자면 식사 시 먹는 콩과 두부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콩류를 농축하여 과도하게 먹는 것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대세 입니다. 아직 이러한 부분에 관하여 과학적으로 세밀하게 분석을 한 결과치가 있다면 일반인 판단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 합니다. 그리고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콩나물, 콩국수, 콩국,두유, 칡, 석류는 먹지 않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 입니다. 메디칼 엔지니어 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http://blog.daum.net/inbio88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