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메디칼엔지니어ㅣ김동우 010-7216-6789

더라이프케어 010-7216-6789

암관련 스크랩 정보

직장암의 이해- 진횅 단계, 병기 구분

라이프케어 김동우 2014. 11. 23. 09:49
728x90
반응형

 

 

 

 

 

직장암의 이해- 진횅 단계, 병기 구분

 

 

직장암의 대부분은 선종성 용종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선종성 용종은 직장의 가장 안쪽 층인 점막층에서부터 생겨나기 시작해서 점점 크기가 커지다가 이 중 일부가 암으로 변하게 되고, 일단 암으로 변하면 직장벽으로 점점 침윤해 들어가게 됩니다.

직장암의 치료 방법과 예후 인자를 알아내기 위해서 직장암의 병기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직장암은 진행 단계에 따라 대장암과 같은 애슬러-콜러법(Astler-Coller Stage)이나 TNM 병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애슬러-콜러 병기 분류 ]

애슬러-콜러 병기

 

A

 암세포가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

B1

 암세포가 장벽 내에 머물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B2

 암세포가 장벽 외로 나갔으나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B3

 림프절 전이가 없고 이웃장기를 침범한 경우

C1

 암세포가 장벽 내에 머물고 있으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C2

 암세포가 장벽 외로 나가고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C3

 림프절 전이가 있으며 이웃 장기를 침범한 경우

D

 , , 뼈 등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TNM(Tumor-Node-Metastasis)병기 분류 ]

 TNM 병기

정 의

T병기

(종양의 장벽침범 정도)

T1

 암세포가 점막하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T2

 암세포가 근육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T3

 암세포가 근육층을 뚫고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

T4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된 경우

N병기

(림프절 전이 정도)

N0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1

 림프절 전이가 1~3개 있는 경우

N2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M병기

(원격전이 유무)

M0

 원격 장기 전이가 없는 경우

M1

 원격 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암의 진행 정도를 병기라고 하는데, 직장벽 침윤 정도(T), 직장 주위 림프절 전이 유무(N), 그리고 간, 폐 등 원격 장기 전이 여부(M)를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병기는 1기에서 4기로 분류되고, 숫자가 높을수록 진행된 직장암입니다.

 

TNM 병기에 해당하는 Numerical 병기의 Grouping은 다음과 같습니다.

 

TNM 병기와 Numerical 병기 Grouping

Numerical

TNM

침범 부위

1

T1N0 또는 T2N0

 암세포가 점막하층 또는 근육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2

A

T3N0

 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

B

T4N0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된 경우

3

A

T1N1 또는 T2N1

 암세포가 점막하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이거나,또는 암세포가 근육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1~3개인

경우

B

T3N1 또는 T4N1

 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이거나, 또는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인 경우

C

T병기에 상관없이 N2인 경우

 T병기에 상관없이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4

T, N 병기에 상관

없이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M1)

 T, N 병기에 상관 없이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