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암의 이해- 진횅 단계, 병기 구분
직장암의 대부분은
직장암의 치료 방법과 예후 인자를 알아내기 위해서 직장암의 병기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직장암은 진행 단계에 따라 대장암과 같은 애슬러-콜러법(Astler-Coller Stage)이나 TNM 병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애슬러-콜러 병기 분류 ]
애슬러-콜러 병기 |
정 의 |
A |
암세포가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 |
B1 |
암세포가 장벽 내에 머물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B2 |
암세포가 장벽 외로 나갔으나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B3 |
림프절 전이가 없고 이웃장기를 침범한 경우 |
C1 |
암세포가 장벽 내에 머물고 있으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C2 |
암세포가 장벽 외로 나가고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C3 |
림프절 전이가 있으며 이웃 장기를 침범한 경우 |
D |
간, 폐, 뼈 등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
[ TNM(Tumor-Node-Metastasis)병기 분류 ]
TNM 병기 |
정 의 | |
T병기 (종양의 장벽침범 정도) |
T1 |
암세포가 점막하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
T2 |
암세포가 근육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 |
T3 |
암세포가 근육층을 뚫고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 | |
T4 |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된 경우 | |
N병기 (림프절 전이 정도) |
N0 |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N1 |
림프절 전이가 1~3개 있는 경우 | |
N2 |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 |
M병기 (원격전이 유무) |
M0 |
원격 장기 전이가 없는 경우 |
M1 |
원격 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
암의 진행 정도를 병기라고 하는데, 직장벽 침윤 정도(T), 직장 주위 림프절 전이 유무(N), 그리고 간, 폐 등 원격 장기 전이 여부(M)를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병기는 1기에서 4기로 분류되고, 숫자가 높을수록 진행된 직장암입니다.
TNM 병기에 해당하는 Numerical 병기의 Grouping은 다음과 같습니다.
[TNM 병기와 Numerical 병기 Grouping]
Numerical |
TNM |
침범 부위 | |
1기 |
T1N0 또는 T2N0 |
암세포가 점막하층 또는 근육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 |
2기 |
A |
T3N0 |
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 |
B |
T4N0 |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된 경우 | |
3기 |
A |
T1N1 또는 T2N1 |
암세포가 점막하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이거나,또는 암세포가 근육층에 국한되고 림프절 전이가1~3개인 경우 |
B |
T3N1 또는 T4N1 |
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이거나, 또는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되고 림프절 전이가 1~3개 인 경우 | |
C |
T병기에 상관없이 N2인 경우 |
T병기에 상관없이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 |
4기 |
T, N 병기에 상관 없이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M1) |
T, N 병기에 상관 없이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
'암관련 스크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의학(기능의학) 치료접근방법 (0) | 2014.11.25 |
---|---|
암환우에게 시행하는 대사검사는 과연 필요한가? (0) | 2014.11.25 |
암 진단 후 정신고통, 암보다 더 무섭다 (0) | 2014.11.23 |
항암중단하고 실시한 세포죽 이야기 (0) | 2014.11.21 |
암환우 지나친 채식위주 식사 경계(국민일보)| (0) | 201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