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을 진단하거나 추적 관찰 중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것은 다양 합니다, 일반적으로 위 내시경, 대장 내시경, 폐 내시경,CT, MRI, PET-CT 초음파 진단등의 영상학적 검사와 조직 검사 결과 및 혈액을 통한 암 지표자 수치를 기준으로 최종적으로 확진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 중에서 환자분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집착을 하는 것이 암 지표자 수치인데 수치가 높아 졌다고 일희일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암 지표자 수치는 암 환자의 모든 상황을 판단하는데 참고가 되는 것의 일부분이고 암 지표자 수치만으로 현재의 암 상태를 확진하는 것은 아니며 진료 중인 의사가 하나의 참고 자료로 활용을 하고 있으므로 지금 수치가 조금 상승되었다고 과도하게 걱정을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물론 암 지표자 수치가 높은 경우 암이 재발이 되었거나 전이가 의심되지만 절대적인 수치는 아닙니다
참고로 암 지표자 수치를 측정하는 기전은 암의 종류에 따라 특수한 물질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고 암 세포에 대한 몸의 반응으로 특수한 물질이 만들어 질 때 혈액이나 체액을 통하여 검사를 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암 지표자 수치의 경우 의학적 기준으로 하는 Specificity (정확도)와 Sensitivity(민감도) 측면에서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치는 아닙니다,
Specificity (정확도)가 낮다
암과 직접적으로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느냐를 구분하여야 하는데 가짜 양성이 자주 나올 수 있다는 것이며, 이 수치가 높아도 암 하고 크게 연관성이 없는 경우도 많다,
Sensitivity(민감도)가 낮다
가짜 음성일 확률이 상당히 높으며 실제로 암이 있지만 이 수치가 별로 변하지 않는 사례도 많다,
그래서 현재 미국의 국립의료원의 경우 암 지표자 수치 검사를 권장하지 않고 있는 실정 입니다, 다만 한국와 일본이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 입니다,
그리고, 국내 일부 의료진들은 용어 자체가 잘 못 되었다고 강조하기도 합니다, 암 지표자 수치, 종양 지표자 수치라는 표현 보다, 암 연관 지표 혹은 암 관련 지표라고 표현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법죄 수사를 하는데 심증은 있지만 물증이 없는 경우도 있듯이 심증은 있지만 나중에 무죄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심증이 높아 나중에 물증이 확보되는 경우도 있듯이 암 투병을 하는 과정에서 이 수치에 과도하게 집착하거나 걱정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암 관련 의료진의 공통된 의견 입니다. 더불어 암은 없지만 암 표지자 수치만 높게 상승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암 지표자 수치 검사 결과는 치료 과정이나 추적 관리 중 의료진이 환자의 몸 상태를 평가하는데 있어 참고적 자료로 활용되며 절대적인 수치로 여기지 않습니다, 다만 암 의 변화와 흐름을 비교 분석하여 참고하는 자료로 여긴다고 생각하여야 합니다,
실제로 많은 암 환우님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특이한 변화는 없는데 단지 암 지표자 수치만 상승되어 근심과 걱정으로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도하게 집착하거나 걱정하지 마시고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힐링어드바이저ㅣ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