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못할 말기 암 환자
5년 전에 근무했던 대학병원에서의 잊지 못할 환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새벽같이 휴대전화 벨이 울린다. “환자가 의식이 없고 숨을 잘 쉬지 못합니다.” 이 환자는 하루 전 의식이 가물가물한 상태로 일주일 정도 전혀 먹지 못하다 입원한 미혼의 37세 유방암 환자였다. 이미 뼈 전이가 매우 심한 상태였고 이로 인해 혈중 칼슘 수치도 매우 높은 데다, 탈진으로 인해 콩팥 기능이 떨어져 있었다.
‘연세가 많으신 노인분도 아니고 젊은 환자가 어떻게 이런 상태로 집에 있었단 말인가?’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차올랐다. 더욱 안타까웠던 것은 처음 진단 당시는 수술이 가능했는데 무서워서 수술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나도 모르게 머리는 산발해서 옷만 걸치고 병원으로 차를 마구 몰아 도착했다. 이미 혈압은 떨어져 쇼크 상태였고 의식도 전혀 없었다.
‘칼슘 수치는 약으로 조절 가능하고 급성 콩팥 기능 저하도 극심한 탈진으로 인한 것이라면 수액으로 좋아질 가능성 있고, 음… 숨 못 쉬는 것은… 기관지삽관술밖에 없구나!’
나도 여느 종양내과 의사처럼 말기 암 환자의 심폐소생술이나 기계호흡 등의 연명치료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그러나 이 환자는 그냥 하늘나라로 보내기엔 너무 안타깝고 의사로서 뭔가를 해줘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숨 쉬는 것만 보조해주고 그동안 교정 가능한 것들을 교정해주면 좀 더 살 수 있지 않을까? 이대로 포기하기엔 이른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울면서 연명치료거부 동의서를 작성하고 있던 보호자에게 나도 모르게 기관지삽관술을 하는 게 어떻겠냐는 말을 해버렸다.
아버지는 울면서 딸이 더 고생하는 것은 볼 수 없다며 이대로 하늘나라에 가게 해달라고 거부했고, 어머니와 남동생은 언제 죽더라도 조금의 소생가능성이 있다면 해달라고 했다.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이 조그마한 목소리로 실랑이하고 있었다. 나는 마지막으로 외쳤다. “이대로 보내실 거예요? 이제 5분만 지나도 그때는 기회가 없습니다. 어쩌실 거예요?”
아버지는 딸의 얼굴이 점점 파래지는 것을 보고 말했다. “그렇다면 한번 해 주세요….” 지체 없이 기관지삽관술을 시행했다. 그다음엔 인공호흡기에 연결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중환자실을 가야 한다. 중환자실 담당 의사에게 전화했다. 돌아오는 대답은 말기 암 환자에게 줄 자리는 없다는 것이었다. 다행히 인공호흡기는 빌려줄 수 있단다.
환자는 인공호흡기를 달고 조금 있다 의식이 돌아왔다. 자신의 모습에 흠칫 놀라며 입안에 꽂혀진 튜브를 뽑으라고 눈짓을 한다. “이 가느다란 튜브가 당신의 생명을 지키고 있어요. 이렇게 부모님, 남동생 알아보고 손가락으로 글씨까지 쓰는 것은 이 가느다란 막대 덕입니다. 불편하시더라도 몸 상태가 좋아질 때까지 조금만 참읍시다”라고 했더니 환자는 눈물을 글썽이며 고개를 끄덕인다. 잘 참아주는 환자가 고맙고 예쁘다.
응급상황이 3주 정도 지났다. 기계를 조심스럽게 떼어 보았다. 환자는 다행히 혼자 힘으로 숨을 잘 쉬었다. 소름이 돋았다. 환자가 혼자 힘으로 숨을 쉬고 있구나! 기계를 못 뗄 줄 알았는데…. 어떠한 생명도 소홀한 생명은 없구나. 어떠한 환자의 생명도, 설령 말기 암 환자의 생명이라도 내가 쉽게 포기하고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은 없구나!
환자의 아버지는 그때 본인의 반대가 겸연쩍은 듯했으나, 딸을 하늘나라로 보내겠다고 마음먹은 피눈물 어린 그 마음을 알기에, 우리는 그냥 서로를 보며 씩 웃었다. 그때의 어떤 결정도 틀린 결정은 아니었으리라.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하늘나라로 가는데…. 다만 조금 더 가족들과 얼굴 보며 세상의 숨을 크게 쉬어보고 마지막을 정리하고 갈 수 있는 시간을 벌게 해주었다면 그게 우리 의사들이 할 일이 아니던가.
그러나 기계를 완전히 제거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환자는 반나절은 잘 견뎌냈지만 반나절이 지나자 호흡과 맥박이 빨라지고 힘들다고 표현했다. 다시 기계를 연결해주었더니 환자가 무언가 말하고 싶은가 보다. 말을 못하니 글씨를 써보라고 하니 ‘뻥쟁이’라고 쓴다. 웃음이 나온다. 아마 기계를 떼고 좋아졌다고 했는데 다시 기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섭섭함의 표현이겠지? 환자의 상태가 좋아졌으니 무슨 말이라도 다 기분 좋은 소리였다.
환자는 내년 봄 개나리와 진달래를 보고 싶다고 했다. 아쉽게도 나는 다음 해 봄의 개나리와 진달래 약속을 지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가족들과 두 달간의 즐거웠던 시간과 헤어짐의 시간을 지켜보았다.
하루살이의 생명은 단 하루뿐이다. 말기 암이 완치되지 않으니 그 어떤 치료도 소용없는 것일까? 암 환자의 마지막을 많이 본 종양내과 의사지만 소중하지 않은 하루는 단 하루도 없었다.
어느 60대 유방암 환자가 생각난다. 한참이나 의식이 없다 치료로 깨어난 후, 여자 레지던트 선생님을 보며 던진 한마디가 “어머, 선생님 너무 예쁘세요”였다. 그래서 옆에 있던 내가 웃으며 “머리에 이상이 있으신 것 같은데 검사를 해봐야겠어요”하며 박장대소했던 일이 생각난다. 그 환자는 다음날 자면서 돌아가셨다. 돌아가시기 하루 전에도 환한 미소로 농담을 주고받으며 돌아가셨던 그분이 항상 생각난다. 참으로 행복한 죽음이었다고 자평한다.
우리 의사는 사람이고 환자도 사람이다. 사람이 사람을 치료하는 행위가 얼마나 귀한 직업인가? 그 환자분들의 환한 미소가 오늘도 나를 다시 활기차게 한다.
전성하(토마스 아퀴나스) 과장/통합의료진흥원 전인병원 혈액종양내과
경희대학교 한의학과와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 혈액종양내과 전문의로서 한의사와 의사 전문의 자격증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Phil Coulter / The Flight of the Earls
' ▒The Life Secr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이 증명/가짜 약 먹은 후 중전두회 반응 (0) | 2016.11.08 |
---|---|
건강간증:방광암,당뇨,간경화-박향숙님 (0) | 2016.08.02 |
그것이 알고싶다 졸피뎀( Zolpidem)의 후유증과 불면증을 대처하는 방법 (0) | 2016.07.17 |
상식 뒤집는 ‘장수 비결’ (0) | 2016.07.07 |
사과, 껍질까지 먹어야 하는 진짜 이유 (0) | 2016.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