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암과의 싸움은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항암제 내성은 암 치료의 가장 큰 난관 중 하나입니다. 암세포가 항암제에 저항성을 갖게 되면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암이 재발하거나 진행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새로운 치료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접근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암세포의 특정 표적을 이용하는 치료법:
표적 치료제: 암세포의 성장, 분열, 생존에 관여하는 특정 유전자 변이나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입니다. 기존 항암제와 달리 정상 세포에 대한 손상을 줄이면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여 내성 발달 가능성을 낮춥니다. 예를 들어, EGFR 억제제, HER2 억제제, ALK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단클론항체: 암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인식하여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법입니다.
2. 환자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치료법:
면역항암제: 환자의 면역 세포(T 세포 등)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법입니다.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 등이 대표적이며, 암세포가 면역 세포의 공격을 회피하는 경로를 차단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3. 암세포의 미세 환경을 조절하는 치료법:
암세포 주변의 환경(혈관, 기질 세포, 면역 세포 등)은 암의 성장과 항암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암세포 미세 환경을 정상화하거나 암 성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 혈관 신생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4. 병용 요법:
서로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진 여러 항암제를 함께 사용하여 암세포의 다양한 내성 획득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전략입니다. 또한, 표적 치료제나 면역항암제와 기존 항암제를 병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내성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새로운 약물 개발:
기존 항암제의 내성 기전을 극복하거나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신약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예를 들어, 암세포의 특정 대사 경로를 차단하는 약물, 암세포의 DNA 손상 복구 기전을 억제하는 약물 등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암세포 내 특정 소기관(예: 리소좀)을 표적으로 하거나, 약물 전달 시스템을 개선하여 항암제 효과를 높이고 내성을 극복하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6. 유전자 및 RNA 치료:
암세포의 내성 유발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 치료법, 또는 특정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는 RNA 간섭 치료법 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 동향:
전이성 유방암: CDK4/6 억제제에 내성을 보이는 전이성 유방암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PEG10 RNA 치료제와 CDK4/6 억제제 병용 요법이 개발 중이며, 종양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위암: AXL 억제제를 이용하여 위암의 면역항암 치료 내성을 극복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흑색종: 흑색종의 BRAF 항암제 내성 원리인 폴리아민 합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 전략이 제시되었습니다.
KIST: 항암제 내성과 부작용을 동시에 잡는 암세포 특이적 항암제 전구체를 개발하여 폐 전이암 동물 모델에서 효과적인 암 성장 억제 효능을 확인했습니다.
UNIST: 암세포 리소좀을 선택적으로 사멸시켜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처럼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치료법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효과적인 치료 전략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환자 개개인의 암 특성과 내성 기전에 맞는 맞춤형 치료법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힐링어드바이저ㅣ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현대의학 자연의학] 네이버밴드로 초대합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오세요.
http://band.us/@cancer
반응형
'의용공학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를 원망하리오 (0) | 2025.05.18 |
---|---|
항암제의 가짜 내성 발생 원인 규명하고 그 근원적 해결책 찾았다 (0) | 2025.05.18 |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이유는 암세포의 가짜 내성 때문 입니다 (0) | 2025.05.18 |
림프 부종의 림프관 정맥문합술의 세계적인 대가 Dr,isao koshima 성형외과 전문의 (0) | 2025.05.14 |
줄기세포,면역세포 국내 치료 가능하다 (0) | 2025.05.11 |